티스토리 뷰

연말정산 부양가족 기준 나이 연금소득 부모 어떻게?

오늘은 2019년 12월 마지막 날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올해도 다사다난한 한 해였던 거 같은데요. 남은 시간 마무리 잘하시고 새해에는 좋은 일만 가득하시기를 바랍니다. 참고로 저는 연말정산으로 한 해를 마무리합니다.

 

연말 정산하기 전 부양가족을 먼저 등록해야 부양가족의 사용한 의료비, 교육비 등을 공제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에 부양가족등록을 한번 해 놓으면 매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부양가족에 대한 연말정산 자료를 다운로드하여 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정말 꿀인 부분이라는 것이죠.

 

실제로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과 부양가족 나이 소득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 번만 알게 되면 편리한 방법으로 진행이 하게 됩니다.

연말정산 부양가족 나이 소득 요건 연말정산을 할 때 부양가족은 배우자와 생계를 같이하는 부모, 자녀, 형제자매인데요. 부양가족 중 부모, 자녀, 형제자매는 나이와 소득요건의 제한요건은 어떻게 될까요 알아봐요.

부양가족이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 부분도 알고 넘어가면 좋기는 합니다. 여러분도 힘내서 잘 알아보시고 진행해주셔야 해요. 그렇게 진행을 하면 되고요.

2020년 연말정산 인적공제(자녀, 부모님, 배우자, 형제, 자매) 안녕하세요. 국세청 경력 세무사 최형진입니다. 올해 한 해도 벌써 다 지나가고, 하얀 쥐의 해인 2020년 경자년을 잘 시작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볼게요.

  • 1. 국세청 홈택스에 로그인하여 조회/발급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하단 메뉴에서 연말정산 간소화를 눌러서 넘어갑니다. 어렵지 않죠 여기까지는 잘해보세요.
  • 1-1. 연말정산 부모 부양가족 등록 기준 알아보기
  • 2. 부양가족 자료제공 동의 신청 옆에 신청을 파란택 버튼 신청을 눌러서 진행합니다. 그러면 넘어가지게 됩니다.
  • 3. 본인인증 신청하는 화면이 나오는데요. 자료 조회자는 근로자 본인의 인적사항을 기재하고 하단 자료 제공자에 부양가족 인적사항과 동의하는 연도를 기재합니다. 눌러서 넘어가세요.

 

이후 간단한 자료 제공자의 본인인증(공인인증서, 핸드폰, 신용카드, 아이핀)을 거치면 부양가족 등록이 완료됩니다. 부양가족이 성년이지 못한 미만의 자녀인 경우에는 본인인증 절차 없이 등록이 가능하고, 자녀가 아닌 경우만 본인인증이 필요로 한데요. 이 부분도 잘 챙겨주세요.

연말정산 부양가족이 공인인증서, 신용카드,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아이핀 아이디가 없는 경우에는 위 화면의 온라인 신청을 누르고 부양가족의 신분증과 위임장을 사진 또는 스캔하여 첨부해야 하므로 스캐너가 있으면 좋겠죠.

부양가족등록신청서, 신분증과 위임장을 팩스(1544-7020)로 전송하거나, 세무서에 방문하여 부양가족등록을 등록할 수도 있습니다. 세무서에 신청하셔도 되나 자신이 하는 게 가장 좋기는 합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부양가족 등록과 부양가족 나이 소득기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미리 부양가족 등록하시고 연말정산 자료를 꼼꼼히 챙겨서 두둑한 13 월급을 받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누가 챙겨주는 것이 아닌 자신이 꼼꼼하게 챙기셔야 한다는 것 잊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 마지막으로 글을 끝내기 아쉬워서 힌트를 드리자면 일단 기본적으로 따로 연말정산을 하는 사람은 자신의 가족으로 올리면 안 된다는 가장 기본적인 사실 잊지 마시기를 바랍니다.

댓글